본문 바로가기 하위 메뉴 바로가기

KIOST

모바일메뉴열기

NEWS & ISSUE

해양과학기술의 글로벌 리더 KIOST 기관소개 및 뉴스 & 이슈를 안내해드립니다.

메인바로가기

RESEARCH

해양과학기술의 글로벌 리더 KIOST 연구를 안내해드립니다.

메인바로가기

EDUCATION

해양과학기술의 글로벌 리더 KIOST 교육을 안내해드립니다.

메인바로가기

50th anniversary

해양과학기술 50주년 홈페이지를 안내해드립니다.

메인바로가기

교육정보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바다의 건강상태를 알리는 두 얼굴의 야광충

  • 조회 : 8249
  • 등록일 : 2019-12-02

바다의 건강상태를 알리는 두 얼굴의 야광충

텍스트이미지

낮에는 피처럼, 밤에는 불꽃처럼

야광충은 광합성 능력이 없어 먹이를 섭식하는 종속영양생물에 속한다. 박테리아, 식물플랑크톤, 요각류의 알과 어린 개체 등을 먹고 산다. 그런데 새로이 알려진 바에 따르면 어류의 치어, 어류의 알, 요각류 성 체, 지각류, 그리고 심지어는 송홧가루까지 먹을 수 있는 것은 닥치는 대로 먹는다고 한다. 몸체는 일반적 으로 구형이고 길이는 200~2,000 마이크로미터다. 생식방법은 분열에 의한 무성생식도 하고 유성생식도 한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빠른 시간에 개체수를 늘릴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뿐만 아니라 가장 더운 열대 지방에서부터 온대 해역을 거쳐 가장 추운 극지방까지, 전 세계에 광범위하게 나타난다.

  • 야광충의 현미경 사진. 사진의 화살표는 야광충이 먹는 식물플랑크톤(왼쪽과 가운데가 각각 규조류)
  • 야광충의 현미경 사진. 사진의 화살표는 야광충이 먹는 식물플랑크톤(왼쪽과 가운데가 각각 규조류)
  • 야광충의 현미경 사진. 사진의 화살표는 야광충이 먹는 식물플랑크톤(왼쪽과 가운데가 각각 규조류)

▲ 야광충의 현미경 사진. 사진의 화살표는 야광충이 먹는 식물플랑크톤(왼쪽과 가운데가 각각 규조류)

조건이 갖춰지면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야광충

야광충이 이상증식에 적합한 환경에 놓이면, 그야말로 폭발적으 로 증가하는데, 이런 매커니즘은 일반적으로 하나의 요인보다는 알맞은 먹이와 수온, 그리고 염분과 같은 복합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야광충의 폭발적 증가는 눈으로도 확인할 수 있는데 바다의 색이 빨간 토마토 주스처럼 보이며, 물의 흐름이 갇힌 곳에서 좀 더 오랫동안 관찰할 수 있다. 또 밤에는 자체적 으로 빛을 내는데, 특히 물의 흐름을 조절하거나 충격을 주면 힘 에 비례해 불꽃쇼를 연상하게 하는 장면이 연출된다. 야광충은 자체 발광기관을 갖고 있지는 않지만, 세포 내 발광물질인 루시 페린이 있어 차가운 빛을 만들어 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푸른색 반딧불처럼 반짝이는 야광충

    ▲ 푸른색 반딧불처럼 반짝이는 야광충
  • 야광충이 폭발적으로 증가한 바다

    ▲ 야광충이 폭발적으로 증가한 바다

야광충이 대발생할 때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이 있을까?

먼저 발생지역의 물속에 녹아 있는 산소량이 부족해지고, 암모니아 농도가 증가한다. 그 결과 양식장에서 자라는 어류가 그물을 벗어날 수 없어 가장 고통 받는데, 아가미호흡을 하기 힘들어져 결국 대량 폐사를 일으킨다. 우리나라 해역에서 야광충은 아직 그 존재가 골칫거리로 부각되지는 않았다. 하지만 온난화로 인한 수온 상승, 연안역의 부영양화와 더불어 야광충의 대발생이 자주, 더 많은 개체수로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이런 특성을 지닌 야광충 대발생이 2014년 독도 주변 해역에서 관찰되었다. 전례 없는 이 사례는 연안에서 폭발적으로 증가한 야광충이 해류를 타고 독도까지 온 것인지, 아니면 독도 주변 해역에 상시적 으로 존재하는 것인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하지만 두 얼굴을 가진 야광충이 독도 주변 해역에서 나타날 가능성이 한층 높아진 것은 사실이며, 헐크의 화난 모습과도 같은 야광충 대발생을 독도 주변 해역 에서 자주 보게 될까 걱정이 앞선다.

출처 : [독도의 비밀, 과학으로 풀다], 2016, 주식회사교보문고, 박찬홍·김웅서 외 22명 저

목록

담당부서 :  
홍보문화실
연락처 :  
051-664-9071
최종수정일 :
2024-01-31